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섬산행

신안 비금도(그림산 있어 더욱 아름다운섬)

 

 

비금도

비금도는 우리나라 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섬으로 목포로부터

54.5km의 지점(동경 125。45", 북위 34。45")에 자리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암태.팔금.안좌면과, 서쪽으로는 흑산면과 마주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연도교가 가설된 도초면과, 북쪽으로는 자은면과 이웃하고 있다.

유인도 4개와 무인도 76개로 형성 되었고 해안선은 86.4㎞이다.

동서가 길고 남북이 짧으며, 동쪽으로는 성치산맥이, 서쪽으로는

선왕산맥이 뻗쳐있다.

그 사이에 동서부 평야가 펼쳐있고, 북쪽은 황해에서 밀려온 모래로

명사십리 백사장을 이루고 있다.

섬의 모양이 새가 날아오른 형상이라 해서 飛禽島라 칭하였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있어 해안의 절경뿐만 아니라 내륙의 산들도

절경을 자랑하는 몇 안 되는 섬 중 하나다.

세 바위가 바다를 향해 다리를 뻗고 있는 모습이나 바위 위에 자연적으로

생겨난 줄사다리, 색의 조화가 오묘한 바위들이 홍도의 비경에

버금간다고들 한다.

본래 강우량이 많은 신안은 일제 때부터 천일염을 만들기 어려운 곳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평안남도 용강군 주을염전으로 징용갔던 박삼만씨가

해방이 되자 고향에 돌아와 개펄을 막아 '구림염전'을 개척한 것이

시초이다(1946년).

그 이전까지 주을염전 등지에서는 바닷물을 커다란 솥에 끓이는

방법으로 소금을 만들었기 때문에 '구림염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천일염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구림염전에 의한 소금제조방법은

주변 신안군 다른 섬까지 전해졌다.

 

비금도에서는 1948년 450세대의 주민들이 '대동염전조합'을 결성하고

보리개떡과 나물죽을 먹으며 1백여ha가 넘는 광활한 염전을 조성했다

5.16 쿠데타 직후에는 화폐개혁과 더불어 소금값이 한 가마에 8백원까지

뛰어 염전 인부들까지 돈지갑 실밥이 터질 정도였다고 한다.

지금이야 외국 소금이 수입되고 화학소금이 쏟아져 나와 옛 경기는

다 잃었지만 한때는"돈이 날아다닌다"라는 뜻의 ‘飛金島'라고 불릴 정도로

염전사업이 호황을 누렸다.

 

비금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변으로 알려진 원평해수욕장은 해당화

붉게 피고 고운 모래 해변이 십 리쯤 뻗어있다고 해서 명사십리로도 불린다.

더욱이 이 곳 해수욕장에서 바라보는 해넘이는 너무도 아름다워서 시뻘건

태양뿐만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조차 마치 바다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듯한 황홀감을 안겨주기도 한다.

한적한 곳에 위치한 하누넘해수욕장 또한 주변의 기암절벽과 함께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며, 비금의 용소와 몸섬 내부에 있는 기린봉,

떡메봉, 전통사찰인 서산사 등도 볼만한 구경거리이다.

고서리에는 천연기념물 제332호로 지정된 칠발도 해조류번식지가 있으며,

역사적인 유적지로는 광대리 뒷산 용굴을 넘는 고개마루에 성치산성이 있다

고려시대에 축조되었다고 추정되는 이 성은 높이 12m, 면적 45.936㎡로써

주위가 130칸 되는 돌성이다. 1231년 몽고병이 침입하기 이전만 해도

성 밑에 마련된 넓은 땅에서 군사훈련을 하느라고 함성과 말발굽소리가

요란했다고 한다. 성치산 성지는 거의 소멸되었으나 오늘날까지도

성치산성의 맨 꼭대기에는 봉화대가 뚜렷이 남아 옛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성치산성 봉화는 옛날 우리나라의 서남해 도서지방을 연결하는 곳으로

흑산 봉화를 받아 목포 유달산, 무안 삼향 왕산, 함평 옹산, 개성, 강화도로

이어졌으며, 이 곳에 봉정이 주둔했다고 한다.

이 성지의 남서쪽에는 용이 살다가 사람들의 등살에 못이겨 승천했다는

용소와 광대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비금의 민속으로는 밤달애놀이가 유명하다. 밤달애놀이는 망자의 혼을

달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례로 호상을 당한 상가를 위해 마을 사람들이

 밤샘을 하며 치룬다.

 

3월 9일 신춘 섬산행

07시 압해도 송공항 선착장도착

 

 0750분 출항

 

 

 

 

압해도에서 암태도를 연결하는 새천년다리 공사중

공사비리로 얼룩진 다리

 

 

비금도 동쪽 성치산

 

가산항이 가까이 멀리 예사롭지 않은 산세 선왕산이 보인다

 

 

 

0930분 가산항 도착 비금도 상징 독수리

 

신안염전의 창시자 박삼만

 

산행들머리로 이동하기위해 버스를 기다리고 25인승 2대에 분승

 

10시경 산행시작

 

그림산이 보인다

 

 그림같은 섬과 주변풍경

 

 

 

 

그림산 정상부

 

풍력발전기가 있는 명사십리

 

갯벌과 염전 비금도의 상징이다

 

 

 

 

 

 

 

 

 

우리나라 모양의 지도바위

 

 

 

그림산으로 통하는 해산굴

 

1시간여 도착한 그림산

 

선왕산으로 이어지는 산세

 

 

 

 

 

 

 

 

 

 

새바위

 

 

 

암능을 오르고 내리고

높이에 비해 암팡진 바위구간  진도의 동석산보다 더 멋진 암능길이다

 

 

 

 

 

대나무숲 죽치우실 안부를 지나고

 

 

 돌아 본 그림산

 

 

선왕산이 가까워지며 하트해변 하누넘이 보인다

 

 

선왕산의 기암들

 

 

 

 

새바위와 그림산이 희미하다

 

 

비금도의 저수지  8개의 저수지에서 섬전체 수돗물을 공급한단다

 

선왕산 정상부

 

하트해변

 

 

 

 

바위능선

 

13시 3시간여 아기자기한 암능길에서 멋진 풍경을 감상하고

하누넘 해수욕장에 하산

 

송공항으로 가는길 명사십리 해수욕장에 잠시

 

 

 

 

 

 

초봄의 맛 간재미 회무침으로 점심

1530분 송공항으로 출발

아름다운 비금도 기행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