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파랑길 종주기

13차 흥환마을~영일대 환호공원




도구해변에서 포항운하입구까지 시내도로는 생략 버스로 이동

13차 1월 21일 18년도 첫 해파랑길 흥환마을에서 0840분 걷기시작

미세먼지로 먼 풍광은 볼 수 없지만 따뜻한 날

가벼운 발걸음으로 호미반도 둘레길중 선바위길 흥환해변길을 걷는다



해변은 멋진 다리로 연결 되어있다




온갖형태의 바위들








마산리 포구

마산리(馬山里)

금오산(231m)과 공개산(241m)사이에 있는 술미산을 비롯한 작은 산들을

배경으로 하여 바닷가에 형성된 마을이다.

마을 뒤쪽에 있는 산의 형상이 머리를 육지쪽으로 두고 꼬리를 바다쪽으로 하여

뛰어가는 말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말미 또는 마산이라 하였다고도 하고,

산에다 말을 놓아 먹였으므로 그렇게 불렀다고도 하는데, 마을 뒷산에는 말을

먹었다는 목장터가 있다.

하선대(下仙臺)와 검둥바우 등 경치가 수려한 곳이 많아 여름철에 피서객과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다.

매년 9월 9일 마을 제당에서 원씨 터주 신위와 월성이씨 골목 신위를 모시고

동제를 지낸다




기름이 흘러 왔는지?


돌아본 마산리포구

다시 해안길 절경이 시작된다

연오랑세오녀의 전설이 된 바위라고 한다





해안 절벽은 갖가지 형태의 바위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이 길이 없었다면 볼 수 없는 진경이다














입암마을

예로부터 와룡득구지형(臥龍得球之形)이라하여 명당으로 전하는 금오산(231m)

서북쪽 해안에 형성된 마을로, 1리인 힌디기와 2리인 선바우 등 2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바우 : 마을 앞 해안에 선바우라 불리는 높이 6m가량의 우뚝 선 바위에

연유한 이름이다.

평택임씨가 처음 이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매년 9월 10일 마을 제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입암(立岩)이란 지명은 '선바우'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힌디기 : 옛날 노씨(盧氏)가 처음 정착하여 살 때 좀더 흉하게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흥덕(興德)이라 하였는데, 음이 변하여 힌덕, 힌디기로 불려졌다 한다.

매년 10월 2일 폭나무 당목에 동제를 지낸다.









잠시 도로를 걷고








연오(延烏)와 세오(細烏)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자 일월이 빛을 잃었는데,

세오의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다시 빛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설화.

포항지역의 연오랑세오녀 설화를 스토리텔링화 하여 천혜의 절경인 동해면 해안에
연오랑세오녀 이야기벽을 시작으로 한국뜰과 방지연못, 영일만을 조망할 수 있는
일월대, 나루쉼터 산마루정자, 연오랑세오녀가 타고 간 듯한 거북바위, 초가집으로
조성된 신라마을, 철예술뜰의 예술작품 등 다양한 공원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해병대 장병들의 휴게시설 청룡회관아래를 지난다

임곡마을

돼지산 북쪽 바닷가에 위치하는 마을로 입암리, 석리, 약전리와 경계를 접하며,

1리인 숲실, 2리인 조사리(造沙里)등 2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 있다.

동국여지승람과 대동여지도에 임곡포(林谷浦)란 지명으로 나오는 이 곳에는 조선시대에

해군기지인 영일진이 있었다고 한다.










연오랑 세오녀 전설이 해안 방파제에 그려져 있다

도구해변 도착

도구해수욕장

동해면의 서쪽에 위치하여 청림동과 경계를 접하며, 남쪽에 해병부대가 있다.

1리와 2리로 나뉘어져 있는 도구, 2리인 우물재, 3리인 농장(農場)등 3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진 마을로 최근 포항시세의 확장으로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도구(都邱) : 면소재지로 파출소, 우체국, 단위농협, 시장, 동해초등학교,

포항동해중학교,포항정보여자고등학교 등의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현재 1리에 해당하는 지역을 흔히 큰동네라고 부르며, 공공기관들은 2리에 분포되어

 있다.동해초등학교의 선돌과 예비군훈련장 뒤에 고분군이 이지역의 역사를 대변해

주고 있으며, 시장터 위쪽에는 연오랑과 세오녀를 모신 일월사당이 있다.

 매년 4월초 큰동네에서는 현씨 터주 신위를 모시고 아름드리 해송 세그루가 있는

 재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데크길을 따라가 도구해안 청림리까지 이어진다

11시 조금 넘어 도구해수욕장 도착

이곳에서 버스로 시내구간은 패스

포항 운하에서 길을 이어간다

11시 30분 포항운하




운하길 풍경들










죽도시장에서 자율 점심

대게도 먹고 국밥도 먹고 칼국수도 먹었다는 후문




해군 군함 포항함이 퇴역하여 전시되어 있다

포구의 어선들

정확히 1979년도 해군 생활중 이곳에 함정을 타고 약 보름정도 상주한 기억이 생생하다

울릉도 가는 선플라워호





영일대 해변

백사장길이 1,750m, 너비 40~70m, 면적 38만㎡로, 포항의 대표적인 해수욕장

.POSCO와 영일만이 보이며, 백사장의 모래가 고와 가족단위피서지로 적합하다.

지명 유래는  서기 157년부터 나타나고, 고려시대 초기부터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였으며 해돋이, 해맞이란 뜻이 있다.























2시 반경 환호 공원도착


흥환마을~도구해변 8k  2시간 반

포항운하~환호공원 6k  점심시간 포함 3시간














































































































































도구해변에서 포항운하입구까지 시내도로는 생략 버스로 이동

13차 1월 21일 18년도 첫 해파랑길 흥환마을에서 0840분 걷기시작

미세먼지로 먼 풍광은 볼 수 없지만 따뜻한 날

가벼운 발걸음으로 호미반도 둘레길중 선바위길 흥환해변길을 걷는다



해변은 멋진 다리로 연결 되어있다




온갖형태의 바위들








마산리 포구

마산리(馬山里)

금오산(231m)과 공개산(241m)사이에 있는 술미산을 비롯한 작은 산들을

배경으로 하여 바닷가에 형성된 마을이다.

마을 뒤쪽에 있는 산의 형상이 머리를 육지쪽으로 두고 꼬리를 바다쪽으로 하여

뛰어가는 말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말미 또는 마산이라 하였다고도 하고,

산에다 말을 놓아 먹였으므로 그렇게 불렀다고도 하는데, 마을 뒷산에는 말을

먹었다는 목장터가 있다.

하선대(下仙臺)와 검둥바우 등 경치가 수려한 곳이 많아 여름철에 피서객과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다.

매년 9월 9일 마을 제당에서 원씨 터주 신위와 월성이씨 골목 신위를 모시고

동제를 지낸다




기름이 흘러 왔는지?


돌아본 마산리포구

다시 해안길 절경이 시작된다

연오랑세오녀의 전설이 된 바위라고 한다





해안 절벽은 갖가지 형태의 바위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이 길이 없었다면 볼 수 없는 진경이다














입암마을

예로부터 와룡득구지형(臥龍得球之形)이라하여 명당으로 전하는 금오산(231m)

서북쪽 해안에 형성된 마을로, 1리인 힌디기와 2리인 선바우 등 2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바우 : 마을 앞 해안에 선바우라 불리는 높이 6m가량의 우뚝 선 바위에

연유한 이름이다.

평택임씨가 처음 이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매년 9월 10일 마을 제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입암(立岩)이란 지명은 '선바우'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힌디기 : 옛날 노씨(盧氏)가 처음 정착하여 살 때 좀더 흉하게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흥덕(興德)이라 하였는데, 음이 변하여 힌덕, 힌디기로 불려졌다 한다.

매년 10월 2일 폭나무 당목에 동제를 지낸다.









잠시 도로를 걷고








연오(延烏)와 세오(細烏)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자 일월이 빛을 잃었는데,

세오의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다시 빛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설화.

포항지역의 연오랑세오녀 설화를 스토리텔링화 하여 천혜의 절경인 동해면 해안에
연오랑세오녀 이야기벽을 시작으로 한국뜰과 방지연못, 영일만을 조망할 수 있는
일월대, 나루쉼터 산마루정자, 연오랑세오녀가 타고 간 듯한 거북바위, 초가집으로
조성된 신라마을, 철예술뜰의 예술작품 등 다양한 공원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해병대 장병들의 휴게시설 청룡회관아래를 지난다

임곡마을

돼지산 북쪽 바닷가에 위치하는 마을로 입암리, 석리, 약전리와 경계를 접하며,

1리인 숲실, 2리인 조사리(造沙里)등 2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 있다.

동국여지승람과 대동여지도에 임곡포(林谷浦)란 지명으로 나오는 이 곳에는 조선시대에

해군기지인 영일진이 있었다고 한다.










연오랑 세오녀 전설이 해안 방파제에 그려져 있다

도구해변 도착

도구해수욕장

동해면의 서쪽에 위치하여 청림동과 경계를 접하며, 남쪽에 해병부대가 있다.

1리와 2리로 나뉘어져 있는 도구, 2리인 우물재, 3리인 농장(農場)등 3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진 마을로 최근 포항시세의 확장으로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도구(都邱) : 면소재지로 파출소, 우체국, 단위농협, 시장, 동해초등학교,

포항동해중학교,포항정보여자고등학교 등의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현재 1리에 해당하는 지역을 흔히 큰동네라고 부르며, 공공기관들은 2리에 분포되어

 있다.동해초등학교의 선돌과 예비군훈련장 뒤에 고분군이 이지역의 역사를 대변해

주고 있으며, 시장터 위쪽에는 연오랑과 세오녀를 모신 일월사당이 있다.

 매년 4월초 큰동네에서는 현씨 터주 신위를 모시고 아름드리 해송 세그루가 있는

 재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데크길을 따라가 도구해안 청림리까지 이어진다

11시 조금 넘어 도구해수욕장 도착

이곳에서 버스로 시내구간은 패스

포항 운하에서 길을 이어간다

11시 30분 포항운하




운하길 풍경들










죽도시장에서 자율 점심

대게도 먹고 국밥도 먹고 칼국수도 먹었다는 후문




해군 군함 포항함이 퇴역하여 전시되어 있다

포구의 어선들

정확히 1979년도 해군 생활중 이곳에 함정을 타고 약 보름정도 상주한 기억이 생생하다

울릉도 가는 선플라워호





영일대 해변

백사장길이 1,750m, 너비 40~70m, 면적 38만㎡로, 포항의 대표적인 해수욕장

.POSCO와 영일만이 보이며, 백사장의 모래가 고와 가족단위피서지로 적합하다.

지명 유래는  서기 157년부터 나타나고, 고려시대 초기부터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였으며 해돋이, 해맞이란 뜻이 있다.























2시 반경 환호 공원도착


흥환마을~도구해변 8k  2시간 반

포항운하~환호공원 6k  점심시간 포함 3시간






























































































































도구해변에서 포항운하입구까지 시내도로는 생략 버스로 이동

13차 1월 21일 18년도 첫 해파랑길 흥환마을에서 0840분 걷기시작

미세먼지로 먼 풍광은 볼 수 없지만 따뜻한 날

가벼운 발걸음으로 호미반도 둘레길중 선바위길 흥환해변길을 걷는다



해변은 멋진 다리로 연결 되어있다




온갖형태의 바위들








마산리 포구

마산리(馬山里)

금오산(231m)과 공개산(241m)사이에 있는 술미산을 비롯한 작은 산들을

배경으로 하여 바닷가에 형성된 마을이다.

마을 뒤쪽에 있는 산의 형상이 머리를 육지쪽으로 두고 꼬리를 바다쪽으로 하여

뛰어가는 말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말미 또는 마산이라 하였다고도 하고,

산에다 말을 놓아 먹였으므로 그렇게 불렀다고도 하는데, 마을 뒷산에는 말을

먹었다는 목장터가 있다.

하선대(下仙臺)와 검둥바우 등 경치가 수려한 곳이 많아 여름철에 피서객과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다.

매년 9월 9일 마을 제당에서 원씨 터주 신위와 월성이씨 골목 신위를 모시고

동제를 지낸다




기름이 흘러 왔는지?


돌아본 마산리포구

다시 해안길 절경이 시작된다

연오랑세오녀의 전설이 된 바위라고 한다





해안 절벽은 갖가지 형태의 바위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이 길이 없었다면 볼 수 없는 진경이다














입암마을

예로부터 와룡득구지형(臥龍得球之形)이라하여 명당으로 전하는 금오산(231m)

서북쪽 해안에 형성된 마을로, 1리인 힌디기와 2리인 선바우 등 2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바우 : 마을 앞 해안에 선바우라 불리는 높이 6m가량의 우뚝 선 바위에

연유한 이름이다.

평택임씨가 처음 이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매년 9월 10일 마을 제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입암(立岩)이란 지명은 '선바우'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힌디기 : 옛날 노씨(盧氏)가 처음 정착하여 살 때 좀더 흉하게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흥덕(興德)이라 하였는데, 음이 변하여 힌덕, 힌디기로 불려졌다 한다.

매년 10월 2일 폭나무 당목에 동제를 지낸다.









잠시 도로를 걷고








연오(延烏)와 세오(細烏)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자 일월이 빛을 잃었는데,

세오의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다시 빛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설화.

포항지역의 연오랑세오녀 설화를 스토리텔링화 하여 천혜의 절경인 동해면 해안에
연오랑세오녀 이야기벽을 시작으로 한국뜰과 방지연못, 영일만을 조망할 수 있는
일월대, 나루쉼터 산마루정자, 연오랑세오녀가 타고 간 듯한 거북바위, 초가집으로
조성된 신라마을, 철예술뜰의 예술작품 등 다양한 공원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해병대 장병들의 휴게시설 청룡회관아래를 지난다

임곡마을

돼지산 북쪽 바닷가에 위치하는 마을로 입암리, 석리, 약전리와 경계를 접하며,

1리인 숲실, 2리인 조사리(造沙里)등 2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 있다.

동국여지승람과 대동여지도에 임곡포(林谷浦)란 지명으로 나오는 이 곳에는 조선시대에

해군기지인 영일진이 있었다고 한다.










연오랑 세오녀 전설이 해안 방파제에 그려져 있다

도구해변 도착

도구해수욕장

동해면의 서쪽에 위치하여 청림동과 경계를 접하며, 남쪽에 해병부대가 있다.

1리와 2리로 나뉘어져 있는 도구, 2리인 우물재, 3리인 농장(農場)등 3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진 마을로 최근 포항시세의 확장으로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도구(都邱) : 면소재지로 파출소, 우체국, 단위농협, 시장, 동해초등학교,

포항동해중학교,포항정보여자고등학교 등의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현재 1리에 해당하는 지역을 흔히 큰동네라고 부르며, 공공기관들은 2리에 분포되어

 있다.동해초등학교의 선돌과 예비군훈련장 뒤에 고분군이 이지역의 역사를 대변해

주고 있으며, 시장터 위쪽에는 연오랑과 세오녀를 모신 일월사당이 있다.

 매년 4월초 큰동네에서는 현씨 터주 신위를 모시고 아름드리 해송 세그루가 있는

 재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데크길을 따라가 도구해안 청림리까지 이어진다

11시 조금 넘어 도구해수욕장 도착

이곳에서 버스로 시내구간은 패스

포항 운하에서 길을 이어간다

11시 30분 포항운하




운하길 풍경들










죽도시장에서 자율 점심

대게도 먹고 국밥도 먹고 칼국수도 먹었다는 후문




해군 군함 포항함이 퇴역하여 전시되어 있다

포구의 어선들

정확히 1979년도 해군 생활중 이곳에 함정을 타고 약 보름정도 상주한 기억이 생생하다

울릉도 가는 선플라워호





영일대 해변

백사장길이 1,750m, 너비 40~70m, 면적 38만㎡로, 포항의 대표적인 해수욕장

.POSCO와 영일만이 보이며, 백사장의 모래가 고와 가족단위피서지로 적합하다.

지명 유래는  서기 157년부터 나타나고, 고려시대 초기부터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였으며 해돋이, 해맞이란 뜻이 있다.























2시 반경 환호 공원도착


흥환마을~도구해변 8k  2시간 반

포항운하~환호공원 6k  점심시간 포함 3시간






























































































































































'해파랑길 종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차 오도리해변~화진휴게소  (0) 2018.03.20
14차 환호공원~오도리해변  (0) 2018.02.14
1구간 오륙도~미포  (0) 2018.01.22
2구간 미포~대변항  (0) 2018.01.22
12차 호미곶 ~흥환마을  (0) 2017.12.20